잡문에는...
무용의 적, 대중과의 소통부재 몇 해 전 부산 광안리에서 열린 무용제(제4회 부산국제무용제)에 갔던 적이 있었다. 뭐 무용에 특별히 조예가 깊은 것은 아니었지만 무용 관련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친구가 올 거라는 말에 술이나 한 잔 걸칠 수 있지 않을까 해서 간 자리였다. 거기서 그를 만났다. 각진 얼굴과 다부진 체격은 기계체조 선수처럼 균형 잡혀 보였고 꽉 다문 입술에선 예술인 특유의 고집이 묻어나 있었다. 무용제가 끝나고 근처 횟집에서 술이 한두 잔 오고 갈 쯤 화재도 자연히 무용으로 이어졌다. 그가 오늘 무용에 대한 느낌을 물어보기에, “좋았습니다. 새로운 경험이었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몇 작품을 제외하고는 무슨 내용인지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많았어요. 너무 어려운 것 같아요.” 이렇게 시작된 이야기는 무용에 대한 일반인들이 느끼는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무용이라고 하면 일단은 난해하고 어렵다는 것이 일반인이 갖는 보편적인 생각입니다. 한국무용은 지나치게 정적이고, 현대무용은 너무 낯설다는 것, 발레는 호기심은 가지만 클래식에 대한 경험이 없다보니 고액의 입장권을 선뜻 구입하기가 망설여지죠. 그렇다고 초대권을 손안에 쥐어준다고 해서 없는 관심이 생기는 것도 아닙니다. 지인의 공연 소식에 마지못해 간다고는 했지만 숨 가쁘게 돌아가는 일상에서 순위권 밖으로 밀려나기 십상이죠. 한마디로 관심이 없으니 볼 수 없고, 볼 수 없으니 외면되어질 수밖에 없는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 같아요.” 사실 나는 무용에 대해 전문적으로 공부한 것도 아니고 무대 경험이 있는 것도 아니었다. 그저 예술에 대한 약간의 관심만으로 그 주변을 얼쩡거린 정도였다고 해야 할까. 하지만 이벤트나 무료 공연, 지인의 행사에 기회가 있을 때마다 참석해 견문을 넓히려했고, 의식적이든 아니든 일 년에 몇 차례씩은 무용이나 춤, 발레 같은 공연(물론 유로좌석이다)을 꾸준히 봐 왔던 터라 이런 이야기 할 수 있는 일말의 자격은 충분하리라. “일반인들이 나 정도의 관심만 있었다면 묵혀버린 초대장이 방구석에 나뒹굴지는 않았으리라! 가족과 선후배, 뿌려진 초대권들로 앞좌석을 채운 체 춤을 추지는 않았으리라!” 예술에 대한 내 자만은 술자리의 취기에 힘을 얻어 무용계 전체를 아우르기 시작했다. 우리 무용계의 현실과 무용인의 경제적 어려움이 그의 입을 통해 흘러나왔고 이에 질세라 내가 평소에 갖고 있던 의구심이나 바람을 줄기차게 쏟아놓기 시작했다.
|